주식의 제 가치를 알면 두려울 것이 없다!
워런 버핏의 가치산출법 심층 분석!
워런 버핏의 주식 가치평가 방법을 한국시장에 맞게 분석·적용해 독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은 『워런 버핏처럼 적정주가 구하는 법』이 내용을 수정·보완하고 최신 사례를 대폭 보강해 개정판으로 나왔다. 이 책은 투자자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매수가격과 매도가격 구하는 법을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논리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무엇보다 그 해법을 투자의 대가로 존경받는 워런 버핏에게서 찾고 있어, 워런 버핏의 투자 방식을 따라 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길잡이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저자는 워런 버핏이 주주들에게 보낸 수십 년간의 주주서한과 각종 기고문, 인터뷰 등을 철저히 분석해 ‘적정주가 구하는 법’을 찾아낸 후 한국주식에도 적용 가능한 해법을 찾았다. 그리고 실제 사례를 통해 그 유용함을 입증하고 있다. 더 나아가 독자들이 워런 버핏의 투자 방법뿐만 아니라 그의 투자철학까지도 이해해서 자신의 것으로 다질 수 있도록 버핏의 주요 투자 조언과 그 내용을 명쾌히 설명해 주는 글을 더하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만 원짜리를 5천 원도 안 주고 사는 방법!!
수많은 투자자들이 남들이 사니깐 따라서 사고, 남들이 파니깐 덩달아 파는 식으로 투자를 하고 있다. 오를 것 같으니까 사고, 내릴 것 같으니까 파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는 탐욕과 공포를 극복할 수 없고, 결코 주식 투자의 승자가 될 수 없다. 그런데 이는 자신이 산 주식에 대한 내재가치를 모르기 때문이다. 내재가치에 따라 합당하게 산정된 적정주가와 목표주가가 없기 때문에 시장이 조금만 흔들려도 부화뇌동해지는 것이다. 예컨대, 이 책에서 제시하는 대로 산출해낸 내재가치가 2만 원인 어떤 주식을 1만 원에 샀다면, 주가가 8천 원으로 떨어져도 불안해서 팔 이유가 없는 것이다. 오히려 추가 매수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반대로 주가가 내재가치인 2만 원에 가까워지면 매도 목표가격 기준에 따라 팔 준비를 하게 된다. 내재가치를 모르면 2만 원이 넘어도 무작정 들고 있다가 결국에는 주가가 하락할 때까지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경우를 주식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매수가격과 매도가격을 결정짓는 내재가치와 적정주가에 대한 확실한 계획이 없는 탓이다.
설령 내로라하는 투자의 고수가 매수한 주식이라도, 내재가치를 계산해서 적정주가와 목표주가를 설정하지 않고 추종 매매한다면 ‘투자’라는 전장에 ‘총’ 없이 뛰어드는 꼴이다. 그 결과는 굳이 설명이 필요 없